사용하고 있는 외장 하드(이동디스크)에 윈도우 PE(winpe) 심기
우선 먼저 WinPE란(?) 무엇인가를 알아보면
Microsoft 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WinPE)라는 다소 모호한 이름의 이 운영체제(OS)는 근본적으로 Windows XP 커널을 이용해서 만든 운영체계입니다. 운영체계(OS)라는 표현보다는 윈도우즈 XP의 부팅 CD라는 표현이 훨씬 더 어울릴것라 생각됩니다.
Windows PE : 즉, PE는 시디(또는 다른 이동식 매체)에 넣어다닐 수 있는 운영체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제 본론으로 들어가 포스팅된 글 내용대로 따라하시면 외장하드에 윈도우 PE 심기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윈도우 PE를 이동디스크에 심기 위해서는 반드시 첨부 파일(준비된 파일)을 다운로드(또는 링크로 부터 다운로드)를 하셔야 합니다. 물론 그 파일들을 가지고 계시면 이 과정을 무시하셔도 됩니다.
▣ 준비물
▷ 이미지 편집툴인 UltraISO : http://www.ezbsystems.com
▷ 부팅도구 유틸리티인 Grub4Dos : http://download.gna.org/grubutil/
▷ WinPE의 수정 도구 배치파일 : Disk Signature, MBR Checksum
▷ 그리고 가장 중요한 윈도우 PE 이미지 파일 : 가장 최근 수정본 파일이면 좋겠죠.
▷ 사용사고 있는 외장 저장 매체
(이동디스크, USB 스틱 메모리, 가상 시디롬(CD-ROM)을 지원하는 아이오드(iodd) 2501, 또는 외장 하드)
1.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 폴더로 부터 UltraISO를 실행한다. 그리고 주 메뉴 파일(F)의 열기 메뉴를 통하여 사용하고 있는 윈도우 PE이미지 파일을 읽어드린다. 읽어드린 winPE에서 부팅정보를 굳지 삭제할 필요는 없습니다.
2. UltraISO의 주 메뉴 부팅(B) > 디스크 이미지 기록(D) 메뉴를 선택한다.
디스크 이미지 기록창에서 형식(F)의 버튼을 클릭하여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외장이동디스크를 포멧한다.
파티션 포맷방식(파일시스템)은 FAT32, NTFS의 형식을 선택해서 한다. 불륨레이블명은 WINDOWSXPE로 이름을 명한다.
3. 위의 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치셨다면 이제 UltraISO에 로드되어 있는 윈도우 PE의 파일을 외장 이동디스크에 모든 파일을 복사를 하면 되는데 이때 UltraISO의 콘텐즈 메뉴를 통하여 편리하게 작업을 하시면 됩니다.
UitraISO의 우측 피일 리스트창에서 폴더 및 모든 파일를 선택하고 파일리스트 창에서 마우스의 우측버튼을 누르면 콘텐츠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는데 여러가지 메뉴중 경로선택 내보내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컴퓨터에 설치 되어 있는 외장이동디스크를 선택를 하시면 선택된 모든 파일들이 보내지게 됩니다. 여기서 한가지 명시을 해야 할 사항은 윈도우 PE를 외장 저장 매체(이동디스크 등)에 이미지기록을 할 경우에는 부팅이 않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므로 위의 절차를 따라 하시기 바랍니다.
4. 위의 과정을 모두 마치시면 몇가지 단계를 반드시 거쳐야 하는데 우선 첨부된 파일중 Grub 부팅 유틸리티(Grub4Dos)인 윈도우용 Grubinst_gui.exe의 프로그램을 실행 시킵니다. 원하는 욥션중에서 필요한 부분을 체크를 하시고 프로그램의 하단 Install의 버튼을 클릭하시면 됩니다.
다운로드 : http://download.gna.org/grubutil/
5. 시디(CD) 이미지로해서 시디롬을 이용한 시디로 부팅을 할 경우에는 필요없지만 CD의 이외의 다른 매체를 이용하여 부팅할 경우에는 반드시 부팅장치 고유의 Disk Signature, MBR Checksum값을 포함된 이미지파일에 입히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위의 과정을 마쳤으면 첨부된 파일중 Disk Signature, MBR checksum.cmd 의 파일을 실행합니다. 아래와 같은 절차를 따라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 수정된 파일을 아래의 링크에서 다운로드를 받으시면 됩니다.(http://www.jbedunet.com/DATA/pds/etc_pds/modifier07.zip (09.03.31 이후))
6. 이제 마지막 과정으로 윈도우 PE내의 루트 디렉토리에 AUTORUN.REG 파일이 있는데 이 파일을 윈도우 PE내의 IUPE의 폴더 아래에 옮겨야 하는 과정을 밟아주시면 됩니다.
만일 IUPE의 폴더 아래에 AUTORUN.REG의 파일이 있다면 이 과정은 무관합니다.
7, 이제 윈도우 PE를 가지고 부팅을 하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최근에 출시되어 사용자층을 넓혀가고 있는 이동디스크중 아이오드 2501(iodd 2501)의 이동매체에 윈도우 PE를 돌려보는 것도 좋겠지요.